PM 2

AI의 시대, PM으로 일하기

앞으로 우리는 AI를 잘 활용하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. 일상에서도 업무에서도저 또한 지금 커머스 플랫폼을 만드는 프로덕트 매니저(PM)로 일하고 있지만, 생성형 AI가 어제밤에 꾼 꿈에 대한 해몽까지 해주는 요즘 프로덕트 매니저의 일은 어떻게 될지 고민을 안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. 일상 뿐아니라 커머스, 금융, 소셜 등 도메인을 가리지 않고 더 많은 실무에서 AI를 활용하고 또 실제 서비스에 AI 모델이 적용될 테니까요. AI 시대, 지금 내 일의 미래에 대한 진지한 고민에 빠지신 분들에게 책 를 추천합니다. 이번 글은 이 책을 읽은 소감과 AI 시대 PM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소개하기 위해 작성하게 되었습니다.  책 소개    책에서는복잡한 기술적 내용을 최소화하고, AI의 기본적인 원리와 적용 사례를..

UX 2025.03.13

현직 PM이 정리해본 서비스 기획자의 차이점

국내에서는 서비스 기획자라는 직무가 있습니다. 제가 여러 조직/회사를 거치면서 리서처로, 프로덕트디자이너로 서비스기획자로 또 PM으로 일하면서 스스로도 항상 궁금했던 서비스 기획자와 PM의 차이와 역할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 해외 IT 기업에서는 대부분 PM(product manager)라고 불리는 역할 상당히 겹치는 부분도 많이 있지만, 몇 가지 차이점이 존재합니다. 그 차이점은 주로 역할의 범위, 조직 내 위치, 책임의 세부화에서 나타납니다.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PM, PO 직무로 채용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. 개인적으로는 PO와 PM은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. 국내에서는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각 조직별로 업무의 범위나 책임에 따라 구분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두 직무 모두 ..

UX 2025.03.11